Surprise Me!

[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] 바이든, 국무장관에 '복심' 블링컨…외교진용 구축 外

2020-11-24 2 Dailymotion

[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] 바이든, 국무장관에 '복심' 블링컨…외교진용 구축 外<br />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외교안보 진용이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국무장관에는 바이든의 최측근이며 대북 '강경파'인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이 지명됐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는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이 기용됐습니다.<br /><br />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,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당선인이 첫 내각 인선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외교안보 라인인데요, 자세히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바이든 당선인이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을 국무부 장관으로 지명했습니다. 또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기용했습니다.<br /><br />차기 국무장관에 지명된 토니 블링컨은 외교 베테랑으로, 바이든 캠프의 외교정책을 총괄해온 최측근입니다. 빌 클린턴 행정부 때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일했으며,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과 국무부 부장관을 지냈습니다. 특히 바이든이 부통령일 때 그의 안보보좌관으로서 '이란 핵합의'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과 함께 외교안보 핵심 라인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기용된 제이크 설리번은, 올해 마흔 셋으로 앞으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를 총괄하게 됩니다. 설리번은, 바이든이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재임했을 때 외교위원회 총괄국장으로 바이든을 보좌했고, 바이든이 부통령이었을 때는 안보보좌관을 지냈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과 설리번은, 바이든 당선인이 트럼프 대통령의 '미국 우선주의'를 폐기하고 동맹 복원과 미국의 주도권 회복을 뼈대로 한 정책 수립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캠프 내 외교 분야의 '핵심 2인방'입니다. 두 사람은 북한 비핵화 문제에서 실무 협상을 중시하는 단계별 접근법,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대북 제재 필요성, 비핵화 합의 마련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라는 바이든 당선인의 해법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또 눈에 들어오는 인선은,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이 바이든 당선인의 역점 과제 중 하나인 기후변화를 담당할 대통령 특사로 지명된 겁니다. 케리 전 장관은 2015년 오마바 행정부 때 파리 기후변화협약에 서명한 인물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인선은 '인종과 성별로 골고루 기용하겠다'는 바이든 당선인의 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 발표된 6명 중 국가정보국 국장과 유엔대사 등 2명이 여성이었고, 국토안보부 장관에는 처음으로 라틴계 이민자 출신이 낙점됐습니다.<br /><br />다음 소식은 공식 발표된 건 아닌데요.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인이 재무장관에 재닛 옐런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지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공식 지명 후 상원 인준을 통과하면, 옐런 전 의장은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재무장관이 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무부 장관에,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이 지명되면서 과연 북핵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에 관심이 쏠립니다. 어떻게 전망해볼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전 부장관은, 대북 문제와 관련해서는 '강경파'로 분류됩니다. 그는 지난 달 대담에서 김정은을 '최악의 폭군'이라고 칭했습니다. 2018년 6월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는, 북한을 '세계 최악의 수용소 국가'로 칭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노골적으로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이 그동안 제시한 북핵 해법을 보면, 단계적 접근법, 지속적 외교, 협상을 위한 대북제재 강화, 주변국과의 공조로 요약됩니다. 최측근 참모답게 바이든의 생각과 일치하는 방향이기도 합니다. 이 같은 대북 접근법은, 정상 간 담판을 중시하며 '하향식'을 선호한 트럼프 대통령이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기조와는 상당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은 특히 오바마 행정부 때인 2015년 7월 이란과의 핵합의 방식을 북한에 적용하는 것을 염두에 둔 분위기입니다. 이란식 핵합의는 이란의 핵무기 개발 억제와 국제 사찰을 대가로 경제 제재를 완화하는 내용으로, 미국과 이란 외에 영국, 프랑스, 독일, 러시아, 중국 등 모두 일곱개 나라가 서명했습니다. 블링컨은 이 합의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인선에서 눈에 띄는 것 중 하나가 존 케리 전 국무부 장관을 기후특사로 지명한건데요. 기후변화 대응은 바이든 당선인의 핵심 공약이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존 케리 전 장관은 2004년 민주당 대선 후보를 지냈고, 오바마 행정부에서 마지막 국무부 장관을 역임했습니다. 상원의원 시절에는 외교위원장을 지낸 거물급 인사입니다.<br /><br />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뒤 탈퇴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오바마 행정부에서 체결될 때 이를 주도한 미국 정부 대표였습니다. 바이든은 이런 그를 기후특사로 지명했습니다. 민주당의 대표적 정치인이자 외교 분야에서 중량급 인사를 기후특사로 임명한 건, 그만큼 기후변화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관련 정책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걸 보여주는 메시지로 읽힙니다.<br /><br />또 글로벌 이슈인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, 대표적인 국제적 합의로 여겨온 파리기후변화협약의 '산파' 역할을 한 케리 전 장관을 특사로 기용해, 트럼프 정부의 정책 뒤집기에 대한 신호와 함께 과거와의 단절을 선언한 셈입니다. 바이든 당선인은 취임 첫날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다시 가입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코로나19 관련 소식입니다. 백신 개발 소식이 연일 잇따르는데요. 영국에서 개발 중인 백신의 예방 효과가 최소 70%라는 소식이 들려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영국 옥스퍼드대가 아스트라제네카와 함께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효과가 평균 70%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 이 같은 결과는, 효과가 95%에 달하는 화이자나 모더나에 비하면 낮은 수준입니다.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역시 투약 방법을 조절하면 효과가 90%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과학자들은 최소 75% 이상의 효과를 가진 코로나19 백신을 기대해왔습니다.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·감염병연구소 소장은 효과가 50∼60% 정도인 백신도 그런대로 괜찮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 이런 점을 ...

Buy Now on CodeCanyon